SEARCH
닫기

소개
위암, 대장암, 식도암 등
소화기 암의 정확한 진단과 최신장비로 정밀한 검사와 치료가 가능합니다.
동아병원 소화기내시경센터는 나날이 다양화되고 전문화 되는 의학발전에 발맞추고 임상과별 협진이 질병치료에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여 소화기내과, 외과 및 영상의학과 전문 인력을 유기적으로 통합한 소화기내시경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  • 1내과 문범 원장 : 650-2509 (월~토)
  • 5내과 박형천 원장 : 650-2547 (월/금)
  • 6내과 한상원 원장 : 650-2543 (화/목)
  • 7내과 소재경 원장 : 650-2743 (수/토)
  • 위내시경 검사
  • 대장내시경 검사
  • 내시경적 치료시술
  • 복부초음파
신물, 속 쓰림, 소화불량, 메스꺼움, 구토, 가스가 찬 느낌 등 다양한 식도, 위·십이지장 궤양의 증상이 있지만 증상만으로 질병을 정확히 진단할 수 없습니다. 정확한 진단 없이 약물치료만 하다가 위궤양이나 위암 등의 심각한 병을 놓치는 경우도 있습니다. 위암의 조기진단을 위해서는 아무런 불편감이 없는 경우라도 1~2년마다 위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건강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.
위내시경 검사가 필요한 경우
상부 소화기 질환 : 속쓰림, 공복시 통증, 소화장애, 식후통증, 위장장애 등
위암 또는 조기위암의 발견을 하고자 할 때
위내시경 검사로 진단 할 수 있는 질병
인후두 질환(후인두암, 후두암)
식도염(역류성, 감염성, 부식성), 식도암, 식도게실, 식도정맥류
위염, 위궤양, 위용종, 위암, 점막하종양, 위정맥류
십이지장염, 십이지장궤양
헬리코박터균 검사 및 치료
수면내시경 검사란 ?
검사에 따른 고통 등으로 인해 내시경 검사를 회피하거나 두려워하는 환자에게 진정제를 사용하여 환자의 수면작용을 유도, 내시경검사의 고통과 두려움 해소는 물론 내시경 검사의 불쾌한 기억을 없애는 검사방법입니다.
대장암은 국내 암 사망률에 있어 4번째로, 인구 10만 명당 약 7명이 대장암으로 사망하고 있습니다. 최근 10년 사이 대장암에 의한 사망률은 약 80%정도 증가해 상승속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. 선진국형 암이라고 불리는 대장암, 정기적인 대장 내시경검사로 암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대장내시경 검사가 필요한 경우
배변 시 출혈
최근 배변습관의 변화
통증, 흔히 하복부 통증
변비, 설사 등의 대장증상
대변잠혈반응 양성 또는 원인이 불명확한 철결핍성 빈혈
대장용종의 진단과 치료 및 치료 후 추적검사
대장암의 선별검사, 가족 중에서 대장암 환자가 있는 경우
대장조영 검사상 이상의 확인 등
대장내시경 검사로 진단 할 수 있는 질병
대장암, 대장용종(폴립, 혹, 선종)
궤양성 대장염, 장결핵, 크론씨병, 허혈성 장염
감염성 대장질환(아메바성, 이질성, 장티푸스, 바이러스 등)
게실성 질환, 항문직장병변
샘종과 대장암
대부분의 대장암은“샘종-암 경과(adenoma-carcinomma sequence)”를 통해 발생합니다. 이 샘종에 다양한 유전자 이상이 발행하여 커지고 이형성이 심해져 진행 샘종으로 발전하고 결국 대장암이 된다는 개념입니다. 따라서, 대부분의 대장암은 대장내시경 검사를 실시해서 전암성 병변인 샘종을 제거 하는 것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.
용종(폴립) 절제술
크기가 작은 용종은 조직검사용 겸자 또는 올가미를 이용하여 제거하며, 크기가 큰 용종은 점막 절제술 또는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시행하여 제거 합니다. 용종 절제술은 이러한 다양한 용종 절제방법을 통칭하는 것입니다.
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 (ESD)
절개도를 이용하여 병변의 가장자리를 절개한 후 점막하층과 근층을 박리하거나, 올가미로 병변을 포획하여 잘라내는 시술 방법으로, 선종이나 점막층에 국한된 조기위암의 경우 내시경을 통한 점막절제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고 위절제술에 따른 합병증도 피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전암성 병변인 위/대장의 선종(용종) 및 점막층에 국한된 조기 위암, 점막하 종양의 경우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이 적용되고 있습니다.
복부 초음파 검사로 진단할 수 있는 질병
간(간암, 간경화, 간종양, 급,만성간염, 지방간 등)
담낭 및 담도(상복부 통증, 담석증, 담낭염, 담낭암 등)
췌장과 비장(급,만성 췌장염, 췌장암 등)
신장과 방광(만성신부전증, 신종양, 결석진단)
복부혈관(복부대동맥, 대정맥질환, 대동맥 등)
기타부위(복강내 농양, 복강내 혈종, 복수, 늑막염, 맹장염, 게실염 등)